✅ 1️⃣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 정의:
디지털 콘텐츠(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저작권과 사용 권한을 관리하고, 무단 복제나 배포를 방지하는 기술.
👉 주요 목적:
- 문서/미디어 접근 권한 통제
- 파일 암호화 및 워터마크 삽입
- 사용자별 사용 이력 추적
👉 사용 예:
기업 기밀문서 공유 제한, 영화/음악 스트리밍 저작권 보호
✅ 2️⃣ DLP (Data Loss Prevention)
👉 정의:
조직 내부에서 중요한 데이터(개인정보, 지적재산권 등)가 유출되거나 무단 전송되지 않도록 사전에 탐지하고 차단하는 솔루션.
👉 주요 목적:
- 이메일, USB, 클라우드 업로드 등 데이터 흐름 모니터링
- 민감 정보 자동 탐지 및 정책 기반 차단
- 내부 사용자 행동 로그 기록
👉 사용 예:
개인정보 보호법 준수, 내부 직원의 실수/악의적 유출 방지
✅ 3️⃣ EDR (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 정의:
엔드포인트(PC, 서버 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위협 탐지, 사고 대응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
👉 주요 목적:
- 실시간 악성 행위 탐지
- 의심 활동 자동/수동 분석
- 침해 사건 발생 시 신속한 격리 및 포렌식 지원
👉 사용 예:
랜섬웨어, 지능형지속위협(APT) 대응, 의심스러운 프로세스 실시간 차단
✅ 4️⃣ EPP (Endpoint Protection Platform)
👉 정의:
엔드포인트(PC, 모바일 등)에 설치되어 악성코드 탐지 및 방역, 방화벽 기능 등 기초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통합 보안 솔루션.
👉 주요 목적:
- 안티바이러스, 안티멀웨어, 방화벽
- USB 차단, 웹 필터링
- 알려진 위협에 대한 예방적 차단
👉 사용 예:
기본 악성코드 감염 방지, 정책 기반 장치 제어
📌 🔑 핵심 차이 요약
솔루션주요 역할초점
DRM | 콘텐츠 저작권 & 사용권 보호 | 문서/미디어 배포 관리 |
DLP | 데이터 유출 방지 | 민감 정보 흐름 제어 |
EDR | 고급 위협 탐지/대응 | 의심 행위 탐지/격리 |
EPP | 기초 엔드포인트 보호 | 악성코드/기본 방역 |
'서버인프라 > IT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임파워드(EMPOWERED)란 무엇인가? (1) | 2025.06.23 |
---|---|
🤖 OWASP LLM Top 10 – 생성형 AI 보안을 위한 필수 가이드 (0) | 2025.05.30 |
🔐 생성형 AI 보안, 이렇게 준비하세요: OWASP LLM 보안 및 거버넌스 체크리스트 (0) | 2025.05.30 |
[보안] OWASP Top 10 (2021) –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의 기준 (0) | 2025.05.30 |
🎉 Gen AI 혁명의 시대를 여는 컨퍼런스 (1) | 2025.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