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lang6

왜 Go는 탄생했는가? ― Google의 개발자들이 직접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배경 이야기1. 배경: 21세기 인프라를 20세기 언어로 만드는 시대2000년대 중반, Google 내부 개발자들은 엄청난 양의 서버와 코드를 다뤄야 했습니다. 당시 주력 언어는 C++, Java, Python 등이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었습니다:C++: 너무 복잡하고 컴파일이 느려서 대규모 팀에서 생산성이 낮음Java: 런타임 환경에 의존적이며, 메모리 사용량이 많고 지나치게 verbose함Python: 매우 생산적이지만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적합하지 않고 느림이로 인해 “우리는 왜 아직도 옛 도구로 복잡한 현대 시스템을 만들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의문이 생겼습니다.2. 전설들이 모이다 – Go의 창시자들Go 언어는 세 명의 핵심 인물.. 2025. 5. 10.
Golang을 학습하기 위해 https://gowebexamples.com/templates/ Templates - Go Web Examples Hey, Philipp here! I'd like to tell you, that my platform Go Web Examples Courses just launched. Enjoy easy to follow video courses about web devlopment in Go. Make sure to check out the special offer I have for early supporters. We'll see us over there! : gowebexamples.com golang web example이 많이 수록되어 있는 웹사이트를 공유합니다. 보통 저도 MVC 패턴으로.. 2023. 11. 3.
InfluxDB의 변화 InfluxDB가 Golang을 버렸다. 그리고 Rust를 채택했다. 그동안 Golang을 고수하다 Rust를 채택한 첫번째 이유는 Apache Arrow, Apache Parquet 및 Apache DataFusion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인거 같다. 1.x에서 사용하다 2.x에서 flux를 개발 진행하여 완전 독립적인 influxdb를 개발 하려다 flux의 개발자 볼륨으로 인하여 포기 하고 다시 Rust로 넘어간 것이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의 로드맵은 다음과 같다. 이 오픈 소스 InfluxDB 3.0의 범위는 InfluxDB 1.x 또는 2.x와 다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우리가 계획한 기본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InfluxDB 1.x 및 2.x H.. 2023. 10. 6.
2. Golang 반복문 Go에서 반복문은 for 밖에 없다. 이 또한 Go에 매력이지 않을까 싶다. 예제 1 >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i := 0 for i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for i := 1; i 2022. 11. 3.
1. 시작 Golang 모든 언어에 시작은 hello world 아니겠어요^^ go는 이렇게 찍는 군요~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fmt.Println("Hello, world") } 2022. 10. 31.
golang에서 go run 이 지겨울때 개발자는 아니지만 공부하면서 수정 할 때마다. Go run 을 해야 해서.... 다른 방법이 없을까 찾아 보다 Reflex를 찾았다. https://github.com/cespare/reflex 위 github 주소로 들어가면 자세한 사항을 확인 가능하다 사용 방법은 간편한데, 아래와 같이 설치 하고 go install github.com/cespare/reflex@latest Makefile 을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Makefile안에는 아래와 같이 작성해 줍니다. dev: ../bin/reflex -r '.go' -s -- go run main.go 위와같이 설정을 완료 하면, 실행 창에 아래와 같이 실행하여 주면 끝!!!^^ $ make dev 저장 버튼을 누를때 마다 자동으로 run 될거에요~ 2022.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