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으로 살펴보는 퍼포먼스와 심리의 관계
운동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경험을 해봤을 겁니다.
“긴장돼서 몸이 잘 안 움직였어…”
“오히려 긴장했더니 집중이 잘 됐어!”
그렇다면, 긴장감은 운동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단순한 느낌이 아닌,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요크스-도슨 법칙(Yerkes-Dodson Law)
1908년, 심리학자 요크스와 도슨은 ‘각성 수준’과 ‘수행 능력’ 사이의 관계를 밝힌 유명한 실험을 발표했습니다.
각성(arousal)이 너무 낮거나 너무 높으면 수행 능력이 떨어지고, 적절한 긴장감 수준일 때 최고 수행이 가능하다.
![Yerkes-Dodson curve 이미지 삽입 가능: 역 U자 곡선]
즉, 긴장감은 없어도 문제고, 지나쳐도 문제입니다. 이 원리는 운동뿐 아니라 시험, 연설 등에도 적용됩니다.
Performance : 운동수행능력
Arousal Level : 긴장감 수준
✅ 긴장감이 긍정적일 때: “각성 효과”
운동 전의 적절한 긴장감은 신체 기능을 활성화시켜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줍니다.
🔹 아드레날린 분비
- 심박수와 혈류량이 증가해 근육에 더 많은 산소와 에너지를 전달
- 반응 속도 향상, 순간적인 힘 증가
🔹 집중력 강화
- 중추신경계가 활성화되어 주의 집중 및 반응성 향상
- 특히 단거리 육상, 격투기, 축구 등의 스포츠에서 유리
📘 관련 연구:
Meeusen et al. (2013) – Catecholamines and the brain: Performance effects
운동 전 긴장에 따른 *카테콜아민(아드레날린 등) 변화가 집중력과 운동 수행을 높인다.
❌ 긴장감이 부정적일 때: “과도한 각성의 역효과”
긴장이 너무 심해지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 근육 경직
- EMG(근전도) 실험에서 긴장감이 높을수록 불필요한 근육 활성이 발생
- 섬세한 조정이 필요한 스포츠(예: 양궁, 골프)에서 치명적
📘 Hatfield et al. (2004) – EEG correlates of optimal performance
양궁 선수의 이마 근육 긴장도가 높을수록 득점 저하
🔹 시야와 판단력 저하
- 과도한 스트레스는 주의 집중 폭을 좁히고, 실전에서의 판단력에 악영향
- 팀 스포츠에서 실수가 늘어날 수 있음
📘 Janelle et al. (2000) – Attentional narrowing under stress
고도의 긴장 상태에서는 시야 축소와 시각적 주의 분산 증가
🧪 실험으로 본 긴장과 수행력의 관계
심리학 (Yerkes-Dodson) | 적당한 긴장 수준에서 수행력 최고 |
내분비학 | 긴장 시 호르몬 변화로 근력, 집중력 증가 |
근전도 (EMG) | 과도한 긴장 시 미세 조정 능력 저하 |
뇌파 (EEG) | 긴장 상태에서 뇌의 활성도 변화 및 실수 증가 |
🎯 운동 유형별 긴장감 영향
단거리 달리기 | 스타트 반응 향상 | 부정 출발, 경직 |
축구, 농구 | 시야 집중, 속도 증가 | 판단력 저하, 실수 |
양궁, 사격 | 집중 향상 | 손 떨림, 조준 실패 |
마라톤 | 리듬 유지, 동기 부여 | 호흡 불안정, 탈진 |
💡 마무리: 긴장감도 전략이다
긴장감은 우리 몸이 위기나 중요한 순간에 보내는 자연스러운 생리 반응입니다.
이를 적절히 관리하면 운동 능력은 분명 향상됩니다.
명상, 호흡 조절, 루틴화, 시각화 훈련 등을 통해 긴장감을 컨트롤하면,
단순히 체력을 키우는 것보다 더 강력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최고의 선수는 긴장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긴장을 통제하는 법을 아는 사람입니다.
📚 참고 자료
- Yerkes & Dodson, 1908. The relation of strength of stimulus to rapidity of habit-formation.
- Meeusen et al., 2013. Sports Medicine.
- Hatfield et al., 2004.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 Janelle et al., 2000.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