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SSM이란?
AWS SSM(Systems Manager)은 AWS 리소스를 원격으로 관리하고 운영 자동화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서버 및 인프라 자원의 유지보수와 관리를 간편하게 해주며, 특히 많은 서버를 관리하거나 자동화가 필요한 환경에서 매우 유용한 서비스 이다.
우선 SSH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SSH포트 활성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프라이빗 IP에서도 기존과 같이 Bastion 서버 없이 사용 가능하다.
그렇다면 사용하기 위해서는 SSM-AGENT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Amazon Linux사용시 설치 되어 있어 별도 설치 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micro서버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는 단점은 존재한다.
우선 설치 되어 있다는 존재 하에 설명하겠다.
혹시 설치해야 된다면, 아래 사이트를 참고 하시길 바란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systems-manager/latest/userguide/manually-install-ssm-agent-linux.html
Linux용 EC2 인스턴스에 수동으로 SSM Agent 설치 및 제거 - AWS Systems Manager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SSM을 사용하기위해서는 EC2에 정책이 필요하다.
AmazonSSMManagedInstanceCore
위 룰을 추가해 주면 된다. 여기서는 권한을 생성하는 부분은 제외하겠다. 간단히 설명하면 역할을 생성하고 거기에 정책을 추가해 주면 된다.
위와 같이 하면 끝이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그리고 내 PC에서 필요한 것
보안 자격증명에서 > 엑세스키를 발급 받는 것이다.
아래와 같이 접속한다. 난 gossm 을 통해 SSM을 실행했다.
이제 SSH에서 조금 벗어날 수 있다.
위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서버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SM 개인계정으로 OS접속 (1) | 2025.03.24 |
---|---|
keyCloak 설치 (0) | 2023.03.20 |
ssh execute command (0) | 2023.01.30 |
Linux ZIP 사용 하기 (2) | 2023.01.27 |
git clone 오류 (0) | 2022.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