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명령을 보다 보면 언제 쳤는지 확인해야 할 경우도 생긴다.
서버 초기 셋팅 시에 아래와 같이 넣어 주시면 history 관리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etc/profile 에 들어가서 가장 마지막 줄에 아래와 같이 넣고 저장 해 준다.
shell > vi /etc/profile
################################################################################################
function history_to_syslog
{
declare cmd
stat="$?"
who=$(whoami)
cmd=$(history 1)
TTY=`tty`
HISNAME="`basename $TTY`"
ip=`who |grep pts/${HISNAME} |cut -f 2 -d \(|cut -f 1 -d \)`
if [ "$cmd" != "$old_cmd" ]; then
logger -p local1.notice "[2] STAT=$stat"
logger -p local1.notice "[1] IP=$ip USER=[$who] PID=[$$] [$PWD] CMD=$cmd"
fi
old_cmd=$cmd
}
trap history_to_syslog DEBUG || EXIT
HISTSIZE=10000
HISTFILESIZE=1000000
HISTTIMEFORMAT="[%F %T] "
export PATH USER LOGNAME MAIL HOSTNAME HISTSIZE HISTFILESIZE HISTTIMEFORMAT INPUTRC
declare -r HISTFILE
###############################################################################################
이후 profile 재 적용 하고
source /etc/profile
다시한번 history를 보자 아래와 같이 날짜와 시간이 찍혔을 것이다.
906 [2022-10-07 06:20:44] ll
907 [2022-10-07 06:20:44] netstat -nlpt
908 [2022-10-07 06:20:44] netstat -nlpt | grep 3306
잘 안되시거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신 분은 뎃글 달아 주시면 안되는 사항에 대해 같이 고민 하겠습니다.
'서버인프라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아이피 대역 (0) | 2022.10.12 |
---|---|
Linux Disk resize (0) | 2022.10.09 |
리눅스 디스크 추가 (1) | 2022.10.07 |
Linux Time Zone 설정 (0) | 2022.02.18 |
IPTABLE Rule 설정 (0) | 2022.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