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2024 ISMS-P 인증제도 항목별 가이드
techwold ted
2025. 5. 30. 14:28
디지털 시대, 정보 유출은 곧 기업 신뢰의 붕괴입니다.
ISMS-P는 기업이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국가 인증제도입니다.
2024년 7월 최신 개정 내용을 바탕으로, ISMS-P 인증 항목을 세부적으로 풀어드리겠습니다.
✅ ISMS-P란?
ISMS-P는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 Personal Information의 약자로,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를 통합적으로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구성요소설명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 조직의 정보자산 보호 전반에 대한 관리체계 |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PIMS) | 개인정보 수집부터 파기까지 전 과정의 보호 조치 |
🔍 인증 항목 구성 (총 102개)
대분류분야항목 수
① 관리체계 수립·운영 | 5개 분야 | 16개 항목 |
② 보호대책 요구사항 | 8개 분야 | 64개 항목 |
③ 개인정보 처리단계별 요구사항 | 3개 분야 | 22개 항목 |
🧩 1. 관리체계 수립·운영 (5개 분야, 16개 항목)
조직의 보안 거버넌스를 수립하고 유지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분야항목명설명
경영진의 참여 | 책임자 지정, 정책 수립 | 최고경영자의 참여 및 정책 기반 확보 |
범위 설정 | 범위 정의, 조직 구성 | 인증 범위와 책임·권한의 명확화 |
위험 관리 | 위험 평가, 보호대책 | 리스크 기반의 보안 전략 수립 |
보호대책 이행 | 실행 계획, 운영 | 연간 계획 수립 및 실질적 조치 이행 |
점검 및 개선 | 감사, 사고 대응, 법 준수 | 주기적 점검 및 개선 루프 확보 |
🧩 2. 보호대책 요구사항 (8개 분야, 64개 항목)
기술적·관리적·물리적 측면에서 실제로 구현되어야 할 보안 조치입니다.
분야주요 항목설명
정책·조직·자산 | 정책 운영, 자산 식별 | 체계적 정책 수립 및 보호 대상 명확화 |
인적 보안 | 보안 서약, 권한 회수 | 사람에 의한 내부 위협 예방 |
외부자 보안 | 계약 통제, 접근 제한 | 외주·협력사에 대한 보호대책 |
물리보안 | 출입통제, 보호구역 운영 | IDC 등 물리 공간의 접근 통제 |
인증·접근통제 | 계정관리, 최소권한 | 시스템 접근권한 최소화 |
암호화 | 데이터 암호화, 키 관리 | 중요정보의 안전한 저장 및 전송 |
변경관리 | 변경 승인 및 기록 | 시스템 변경 시 보안 영향 최소화 |
로그·침해대응 | 로그 보존, 사고대응 | 이상 탐지 및 사고 대응 체계 확보 |
예: "보안 로그는 6개월 이상 보관, 위변조 방지"
🧩 3. 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요구사항 (3개 분야, 22개 항목)
개인정보 수집부터 파기까지 전 주기에 걸친 통제 및 보호 항목입니다.
처리 단계항목명설명
수집 | 최소 수집, 동의 확보 | 목적 외 수집 금지, 투명한 동의 획득 |
보유·이용 | 접근통제, 암호화 | 데이터 보호와 접근자 관리 강화 |
제공·파기 | 제3자 제공, 파기 기록 | 외부 제공 통제 및 안전한 삭제 실행 |
기타 | 유출 통지, 정보주체 권리 | 유출 대응 및 열람·정정 등 권리 보장 |
📌 활용 예시: 실무 체크리스트 (요약)
- 정보보호 책임자 지정 및 공식 위임 문서 보관
- IAM 정책 점검: 최소권한, 퇴직자 계정 회수 여부
- 로그 보존 및 백업, 사고 대응 시나리오 검토
- 개인정보 암호화 저장 및 파기 절차 정립
- 제3자 제공 목록 및 기록 보관 여부 확인
🎯 왜 ISMS-P가 중요한가?
효과설명
규제 대응 | 개인정보보호법, 전자금융법 등과의 정합성 확보 |
고객 신뢰 | 인증 유무에 따른 서비스 신뢰도 제고 |
수주 경쟁력 | 공공/민간 프로젝트 입찰 가점 요인 |
🏁 마무리
ISMS-P 인증은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조직 전체의 보안 성숙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내부 규정을 갖췄는가?”보다는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가?”에 집중해야 합니다.
지금 당장, 우리 조직은 위 102개 항목 중 몇 개를 충족하고 있나요?